반응형 전체 글82 숙종의 당숙 동평군 이항 장희빈과 연결된 왕실 가계도 이야기 "조선 숙종이 가장 아꼈던 왕족은 누구일까?"대부분 왕세자나 중전을 떠올리기 쉽지만 놀랍게도 숙종이 극진히 아낀 사람 중 하나는 바로 당숙(큰삼촌뻘)인 동평군이었습니다.심지어 조선 역사상 동평군처럼 외교와 정치의 중책을 자주 맡은 왕실 종친은 드물었다고 합니다.그런데 이토록 총애받던 동평군이 숙종 치세 말기에 비참하게 생을 마감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어쩌다 사랑받던 왕족이 '역모'의 누명을 쓰고 사사(스스로 죽음)까지 당하게 되었는지 그의 짧고 굴곡진 삶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한눈에 보기주제 : 숙종이 총애한 왕족, 동평군의 삶과 억울한 죽음포인트 : 정치, 외교의 핵심을 맡았던 동평군이 어떻게 역모에 휘말렸는가읽으면 알게 되는 것 : 조선 후기 왕실의 권력 다툼과 동평군의 억울한 최후현종 사촌.. 조선 왕조 2025. 4. 9. 더보기 ›› 소헌왕후 심씨 조선 최고의 성군 부부였던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의 능 "세종대왕의 왕비는 과연 어떤 사람이었을까?"우리가 흔히 세종대왕을 떠올릴 때, 세종대왕 옆에서 조용히 나라를 지키던 소헌왕후는 잘 주목받지 못합니다.하지만 소헌왕후는 조선 최고의 왕비로 손꼽힐 만큼, 강인함과 지혜를 겸비했던 인물이었습니다.시아버지 태종에 의해 친정이 몰락했음에도 남편을 원망하지 않고 묵묵히 내조하며 조선 왕실을 굳건히 지켜냈죠.📜 한눈에 보기주제: 세종대왕의 왕비, 소헌왕후의 삶과 업적포인트: 친정이 숙청당한 후에도 왕실을 지킨 강인한 왕비읽으면 알게 되는 것: 소헌왕후의 인생, 비극, 그리고 조선 왕실에 남긴 유산어린 시절부터 왕비까지소헌왕후는 1395년 가을, 양주에서 태어났습니다.본관은 청송, 아버지는 청천부원군 심 온이었죠.어린 시절부터 소헌왕후는 조용하고 단아한 성품으로 유.. 카테고리 없음 2025. 4. 7. 더보기 ›› 제주 4.3사건이란 제주4.3사건 희생자 수 잊지말아야 할 기억 혹시 제주 4.3 사건이라고 하면 어떤 이미지가 먼저 떠오르시나요? 무장봉기, 빨갱이, 혹은 군경의 진압 작전 정도일 수도 있겠네요. 하지만 이 사건을 이념 충돌이나 반란으로만 기억한다면, 어쩌면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참혹했던 비극을 모르고 있는 것일지도..한반도 현대사의 뿌리 깊은 상처 제주 4.3 사건은 우리 사회가 과거를 어떻게 기억하고 정의를 어떻게 세울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그 진실의 시간을 함께 거슬러 올라가 보겠습니다.1947년부터 1954년까지의 제주제주 4.3 사건의 시계는 1947년 제28주년 3.1절 기념식으로부터 시작됩니다.그날, 관덕정 앞에서 열리던 집회 도중 한 어린아이가 경찰의 말을 피해 달아나다 말발굽에 차이는 일이 벌어졌고, 이를 본 시민들이 항.. 카테고리 없음 2025. 4. 3. 더보기 ›› 신덕왕후 강씨, 신덕왕후 강씨 죽음과 묘가 파헤쳐진 사연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에게는 두 명의 부인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름을 헷갈려하거나 어느 쪽이 더 '정실부인'인지 혼란스러워하곤 하죠.흥미롭게도 우리가 조선의 첫 번째 왕비로 알고 있는 신덕왕후 강 씨는 사실 태조의 후처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신덕왕후 강 씨는 조선이라는 나라가 막 태동하던 그 혼란한 시기에 등장해 남편 이성계를 조선의 왕으로 만들었고 자신의 아들을 왕세자 자리에 앉혔습니다.하지만 그녀가 죽은 뒤 벌어진 1차 왕자의 난 그리고 그 이후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은 신덕왕후라는 인물이 조선사에서 얼마나 상징적인 인물이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이번 글에서는 신덕왕후의 생애와 그녀가 남긴 역사적 의미를 조금 다른 시각에서 살펴보려 합니다.버들잎 설화신덕왕후 강 씨는 고려 말의 대표.. 조선 왕조 2025. 3. 31. 더보기 ›› 월산대군 가계도와 삶, 조선의 풍류군자 월산대군 시조 추강 혹시 '월산대군'이라는 이름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조선시대 역사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지도 모르겠습니다.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그저 '성종의 형'이자 '왕이 되지 못한 왕자' 정도로 알려져 있을 뿐이죠.그러나 이 인물을 좀 더 깊이 들여다보면 그런 단순한 설명으론 다 담아낼 수 없는 삶의 궤적이 펼쳐집니다.흔히 사람들은 왕위 계승에서 밀려난 인물에게 '비운의 왕자'라는 수사를 붙입니다. 월산대군 역시 마찬가지로 기억되곤 합니다.하지만 월산대군의 삶은 정치적 실패나 병약함으로 점철된 게 아니었습니다.그는 조선의 문화를 풍요롭게 만든 시인이자 풍류객이었고 학문에 깊은 열정을 지닌 지식인이었습니다.오늘은 월산대군의 아름다우면서 안타까운 삶을 함께 따라가 보겠습니다.왕이 되지 않기를 선택한.. 조선 왕조 2025. 3. 26.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