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종, 조선 8대 임금 예종 가계도 비운의 14개월과 창릉 서오릉
조선 제8대 왕 예종은 누구일까요? 짧은 재위 기간에도 중요한 정책을 펼친 예종의 생애와 업적을 알아봅니다.
조선 8대 임금 예종
조선 제8대 왕 예종은 세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그는 1468년 아버지 세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지만 불과 1년 2개월 만에 승하했습니다. 하지만 짧은 재위 기간에도 나라의 기틀을 다지는 정책을 펼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예종의 생애 그리고 그의 능인 창릉(昌陵)이 있는 고양 서오릉을 탐방하는 방법까지 소개합니다.
예종의 짧은 재위와 업적
예종의 재위 기간은 14개월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예종은 몇 가지 중요한 정책을 남겼습니다.
1. 직전수조법 시행
- 조선 시대의 경제 기반을 다지는 제도
- 현직 관료에게만 토지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개혁
2. 삼포왜란을 대비한 사무역 금지
- 일본과의 무분별한 사무역을 금지
- 국방력 강화에 집중
3. 둔전 개방으로 농민 경제 활성화
- 각 도와 읍의 둔전을 일반 농민이 경작할 수 있도록 허용
- 농민들의 생활 안정에 기여
4. 경국대전 편찬 기행
- 조선 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 편찬을 추진
- 하지만 반포 전에 승하하여 완성된 법전을 보지 못함
이처럼 예종은 짧은 기간 동안 국정을 운영하며 중요한 정책을 남겼습니다.
예종의 가계도
관계 | 이름 | 비고 |
부 | 세조 | 조선 제7대 국왕 |
모 | 정희왕후 윤씨 | |
본인 | 예종 (1450년 1월 23일 ~ 1470년 1월 9일) | 조선 제8대 국왕 |
제1비 | 장순왕후 한씨 | |
제2비 | 안순왕후 한씨 | |
아들 | 인성대군 | 어머니 장순왕후 한씨 |
아들 | 제안대군 | 어머니 안순왕후 한씨 |
딸 | 현숙공주 | 어머니 안순왕후 한씨 |
딸 | 혜순공주 | 어머니 안순왕후 한씨 |
양자 | 성종 | 조선 제9대 국왕, 친부모 덕종대왕, 소혜왕후 한씨 |
예종은 1468년 9월부터 1470년 1월까지 약 1년 4개월간 재위했습니다.
예종의 본명은 황(晄)이며, 자는 명조(明照) 또는 평남(平南)이었습니다.
고양 서오릉 '창릉' 탐방
예종의 능은 경기도 고양시 서오릉에 위치한 창릉입니다.
서오릉은 조선 왕실의 다섯 개 능이 모여 있는데요. 역사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필수 방문지입니다.
서오릉 가는 방법
- 주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오릉로 334-32
- 운영 시간 : 오전 9시~오후 6시(입장 마감 오후 5시)
- 입장료 : 성인 1,000원 / 청소년 500원
- 대중교통 : 서울에서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하차 후 버스 이용
서오릉은 왕릉뿐만 아니라 넓은 공원과 산책로가 있어 가족, 연인, 친구들과 함께 방문하기 좋습니다.
예종은 세조의 통치를 이어받아 강력한 개혁을 추진했지만 요절로 인해 그가 꿈꾸던 정책들을 완성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직전수조법과 둔전 개방 등 그의 업적은 이후 성종 대에 영향을 미치며 조선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예종의 묘소인 창릉을 방문하면 조선 왕조의 흥망성쇠를 느낄 수 있습니다. 역사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서오릉을 방문해 보세요.
'조선 왕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산군 가계도와 업적 그리고 묘, 연산군 최후 어머니 폐비 윤씨로 인한 폭정 (0) | 2025.02.25 |
---|---|
조선 성종 가계도, 폐비 윤씨 그리고 성종대왕 후추와 팔만대장경 이야기 (0) | 2025.02.11 |
태조 이성계 가계도와 태조 이성계 업적, 태조 아들 이방원 (0) | 2025.02.06 |
영조의 가계도, 재위기간 조선 21대 왕 조선 후기 중흥을 이끈 개혁 군주 영조 (0) | 2025.01.30 |
수양대군 세조의 가계도와 계유정난, 단종의 몰락 그 비극의 역사 (0) | 2025.01.22 |
댓글